안녕하세요. 연구자산팀입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쉽게 언급하지만 쉽게 이해하기는 힘든 ‘과제’에 대해 우리 회사의 제품과 연관시켜 조금 쉽게 이야기하고 제안해보고자 합니다.
'과제'란?
많은 분들께서 한번쯤은 ‘과제’, ‘국책과제’, ‘정부과제’, ‘R&D과제’ 등 다양한 명칭으로 과제에 대해 들어보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흔히 말하는 과제는 정부의 주요 부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보건복지부 등)에서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수행하는 개별 단위의 프로젝트를 일컫는 명칭입니다. 국가연구개발사업에는 수많은 세부 사업들이 있으며 세부사업은 또다시 수많은 과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코어라인소프트와 뷰노는 ‘혁신형 의료기기기업 기술상용화 지원사업’이라는 같은 세부사업 안에서 각각 과제를 수행하고 있는데, 우리 회사에서는 해외임상 과제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코어라인소프트는 HeLP 과제, 흉복부-전이암 과제, 해외임상 과제, PE 과제 등 다양한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과제 수행의 결과로 사업화에 성공하였거나 현재 사업화 단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왜 과제를 하는가?
대기업부터 스타트업 기업에 이르기까지 많은 기업들이 다양한 이유와 목적을 가지고 과제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우리 회사와 같은 중소 또는 벤처기업에는 어떤 이점이 있는지 설명 드리겠습니다.
첫째, 과제를 통한 재정적 지원입니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비용 부담이 크고 자금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과제를 통해 활로를 개척할 수 있습니다. 과제를 수행하는 기간 동안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인건비, 연구장비, 해외 여비 등으로 다양하게 집행하며 연구개발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둘째, 기술의 혁신입니다. 과제를 수행하면서 보다 도전적인 연구개발을 수행하여 기술 혁신의 속도를 높이고 세계적인 기관과의 격차를 줄일 수 있고 때로는 그보다 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습니다.
셋째, 네트워크를 통한 기술개발 및 연구개발 경험의 축적입니다. 보통 과제는 ‘산-학-연-병’과 같이 다양한 기관으로 구성하여 기술개발을 수행하게 됩니다. 과제를 통해 네트워크 구성하고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다양한 연구개발 경험을 축적할 수 있습니다.
넷째, 기업의 성장입니다. 최근 정부는 과제를 통해 연구개발 단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사업화를 통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 진출도 독려하고 있습니다. 과제를 통한 기술적 성과를 바탕으로 수익을 창출하여 기업이 성장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과제를 통해 보는 코어라인소프트 올해의 성과
코어라인소프트는 서울시의 지원으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바이오․의료 기술사업화 지원사업을 통해 PE 과제를 수행하였습니다.
본 과제를 통해 폐색전 검출 및 분할 인공지능을 탑재하여 실제 임상에서 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인 AVEIW PE를 개발하였습니다. 회사가 이미 개발하여 보유하고 있는 관상동맥석회화 검출 인공지능, 대동맥 박리 분석 인공지능에 폐색전 검출이 가능한 인공지능을 더함으로써 TRO(triple rule out) 패키지를 완성하였으며, 흉부CT에서 보다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서울시에서는 연구개발의 우수성 및 혁신성을 인정하여 ‘2024년 서울형 R&D 성과공유회’를 통해 서울특별시장 표창을 수여하였습니다.
또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보건복지부의 혁신형 의료기기기업 기술상용화 지원사업으로 해외임상 과제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과제를 통해 AVIEW CAC와 AVIEW Lung Nodule CAD, AVIEW IPF의 유효성 및 안전성 검증을 위해 UAB(The University of Alabama at Birmingham), CVMG(Cardiovascular Medical Group)와 함께 미국 내 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습니다. 해외기관과의 임상시험을 통해 데이터를 축적하고 FDA 510(k) 인증을 신청하거나 획득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품의 경쟁력을 강화하였으며, 해당 제품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에 보건복지부에서는 ‘2024 보건산업 성과교류회’를 개최하여 혁신형 의료기기 기업으로 국민보건 향상과 의료기기 산업 발전에 대한 공로를 인정하여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장 표창을 수여하였습니다.
앞으로의 과제의 역할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한 과제 수행은 재정지원, 기술혁신, 경험 축적, 기업의 성장뿐만 아니라 R&D 단계 및 회사의 상황에 따라 적합한 유형의 과제를 전략적으로 선택하고 과제를 추진함으로써 혁신기술을 개발하고 각종 인증, 인허가 획득을 통해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코어라인소프트가 개발하는 인공지능 기술은 의료진의 업무 효율을 높이고 더 많은 질병을 더 정확하게 판독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나아가 의료기기 산업 발전 및 인류의 생명을 지키는데 있습니다. 코어라인소프트의 가치 실현과 회사의 성장을 위해 지원 가능한 새로운 과제를 발굴하고 한단계 도약할 수 있는 과제에 도전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다음을 중점적으로 미래 비전을 이뤄갈 예정입니다.
- 산·학·연 협력을 통한 오픈 이노베이션
코어라인소프트는 과제를 단순한 연구개발의 수단이 아닌, 산·학·연 협력을 통해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는 기회로 보고 있습니다. 유수의 국내외 연구기관 및 대학, 그리고 의료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여 기술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이를 통해 독보적인 연구개발 경험과 네트워크를 축적할 것입니다.
- 지속가능한 성장의 토대 마련
정부 지원 과제는 단기적인 재정적 지원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를 통해 얻은 기술적, 경험적 자산을 바탕으로 장기적인 성장을 도모할 것입니다. 코어라인소프트는 연구개발 성과를 제품과 서비스로 성공적으로 사업화하여 새로운 매출원을 창출하고, 이를 통해 회사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입니다.
- 글로벌 의료기기 산업에서의 경쟁력 강화
코어라인소프트는 현재의 기술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과제를 통해 글로벌 의료기기 산업에서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세계적인 기술 트렌드와 각국의 규제 환경을 철저히 분석하여, 국내외 인허가를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할 계획입니다.
R&D는 기술 혁신의 발판이자, 기업 성장의 동력이 될 것입니다. 혁신을 향한 도전과 사회적 가치 실현을 동시에 이루어내는 코어라인소프트의 행보에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