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제품, 인재 채용, 투자 관련 또는 기타 문의사항이 있으신 경우 편하신 방법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코어라인소프트는 보건복지부가 지원하는 총 220억 원 규모(정부출연금 213억7천5백만원, 기관부담금 6억5천2백5십만원) 인공지능(AI) 연구개발 과제인 ‘의료품질 및 업무 효율 향상을 위한 다기관 멀티모달 기반 모델 구축 및 의료서비스 지원 플랫폼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의료 AI가 단일 모달리티 중심의 특화형(Specialist)에서 다중 모달리티를 통합하는 범용형(Generalist) 모델로 진화하는 글로벌 트렌드를 반영한 것이다. 서울아산병원이 총괄을 맡았으며, 코어라인소프트·네이버클라우드·Public-AI·Emocog 등 4개 기업과 서울대병원·분당차병원 등 8개 병원, KAIST·울산대학교 등을 포함해 총 14개 기관이 참여하는 최대 규모 의료 AI 연구개발 프로젝트다.
사업 총괄책임자인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양동현 교수는 “다기관이 보유한 의료 데이터를 안전하게 연합 학습하고, 영상·문서·음성 등 다양한 모달리티를 통합 분석하는 범용 의료 AI는 향후 진료 환경의 효율성과 형평성을 크게 높일 것”이라며, “이번 프로젝트는 국내 의료 현장에 최적화된 국산 의료 LLM 구현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코어라인소프트는 흉부 CT 기반 다중 질환 분석 기술과 생성형 AI를 결합해, 특정 진료과(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암·만성질환, 중환자질환)에서 활용 가능한 의료서비스 지원 AI 솔루션 개발에 기여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의료진의 진료·간호·환자 소통·연구·행정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김진국 코어라인소프트 대표는 “이번 정부 과제 참여를 통해 당사의 흉부 영상 분석 기술이 멀티모달 의료 AI 플랫폼 개발과 임상 실증에 활용될 수 있게 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며, “국내외에서 축적한 흉부 영상 분석 경험과 기술력을 적극 활용하겠다”고 말했다.코어라인소프트는 지난해 국내 의료 AI 기업 최초로 AI 경영시스템 국제표준 ‘ISO/IEC 42001’ 인증을 획득했으며, AI 신뢰성을 강화하는 ‘이중 AI 구조’ 기술에 대한 미국 특허를 등록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 미국 템플헬스, 3DR Labs 등과의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확보한 기술과 운영 노하우를 이번 과제 수행에도 반영할 계획이다.
문의하기